든든한 노후 대비의 시작, 퇴직연금제도 알아보기!
퇴직연금이란? 퇴직연금은 회사가 퇴직급여 지급 재원을 외부 금융회사에 적립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운용하여 근로자의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염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의 노후소득보장 체계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저출산과 고령화가 가속 되고, 평균수명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국민연금의 노후소득보장기능은 갈수록 약화되고 있기때문에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서 퇴직연금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제도의 종류에는 DB(확정급여형), DC(확정기여형), IRP, 혼합형(DB+DC) 등이 있습니다.DB, DC, IR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DB(확정급여형) DB(확정급여형)는 미리 정해진(Defined) 퇴직급여(Benefit)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안 되다 vs. 안되다 / 안 돼 vs. 안돼
안 되다, 안 된다. 안 돼, 안돼.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표현입니다. 띄어 쓰기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붙여써야 하는지? 정답은 둘 다 쓸 수 있다... 입니다. 단, 의미가 다르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안 되다, 안 돼 이렇게 '안'과 '되다', '돼'를 띄어 쓰면, 금지의 의미가 됩니다. 예를 들어, 들어가면 안 된다. 과자만 먹으면 안 돼.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안되다, 안돼 이렇게 '안'과 '되다', '돼'를 붙여 쓰면, 뭔가 바라는 대로 잘 되지 않는다는 뜻의 한 단어가 됩니다. 예를 들어, 공부가 잘 안돼. 배추 농사가 안되서 고민이야.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금지하는 명령의 의미일 때 '안 된다', '안 돼'라고 띄어 쓰면 되고, 그 외에는 붙여 쓰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