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3)
'연도'와 '년도'의 의미 '연도'와 '년도'는 같은 말일까요? 아니면 다른 말일까요? (두 단어 모두 한자로는 '年度'로 동일합니다.) '연도'는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또는 앞의 말에 해당하는 그해'를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졸업 연도', '제작 연도'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년도'는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의미하는 '의존명사'입니다. 예를 들어 '1982년도 출생자'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명사+명사' 구조로 띄어쓰기를 할 때에는 '연도', '숫자+의존명사' 구조로 붙여쓰기를 할 때에는 '년도'를 사용하면 되겠네요.
'들르다'와 '들리다' '들르다'와 '들리다', 쉽지만 혼동하기 쉬운 말입니다. '들르다'는 '지나가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라는 뜻입니다. '친구 집에 들르다.', '서점에 잠깐 들렀다 가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들리다'는 '듣다(사람이나 동물이 소리를 감각 기관을 통해 알아차리다)의 피동사' 입니다. 따라서 '음악 소리가 들린다.', '저 쪽에서 소리가 들렸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소는 '들르다', 소리는 '들리다', 이렇게 이해하면 쉽겠네요. 이상으로 '들르다'와 '들리다', 헷갈리는 맞춤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르노삼성 평촌정비사업소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에 위치한 '르노삼성 평촌정비사업소'입니다.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부림로 202) 집 근처라 종종 들르게 되는 정비소입니다. 2017년인가 새로 건물을 지어서 외관이나 내부시설이 깔끔한 편입니다. 건물 1층에 접수처와 정비센터가 있습니다. 대기실은 2층에 있습니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소파와 인터넷을 할 수 있는 PC도 마련되어 있고, 커피나 차도 마실 수 있습니다. 2층에서 차량을 정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발코니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용 고객이 많아서 평일에는 예약을 하고 가는게 좋습니다. 오후에 가면 보통 2~3시간은 기다려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깔끔한 실내 공간과 친절한 서비스는 만족스럽습니다. 정비 수준이나 가격은 보통인 것 같습니다. (현기차에 비..
구글 애드센스 vs.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 비교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소소한 광고수익이 또다른 즐거움을 주기도 합니다. (물론 일부 블로거의 경우, 많은 수익을 가져가기도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애드포스트, 티스토리 블로그는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데요. 그럼, 애드포스트와 애드센스 중 어떤 플랫폼의 수익률이 더 높을까요? 제가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블로그를 통해 애드포스트와 애드센스의 수익률을 살펴봤습니다. (단, 두 블로그의 포스팅 주제는 완전히 다릅니다. 이 점 참고해 주세요.) 먼저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입니다. 4월 4일부터 4월 10일까지 1주일 동안의 광고 수익이 193원입니다. 150~500건 정도 노출이 되지만, 클릭수가 '0'이네요. 그나마 몇 십원씩이라도 수익이 쌓이는 건, 애드포스트 ..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의 차이를 아시나요? 아래 사진에서 창문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발코니일까요? 베란다 일까요?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는 일상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그런데 각 용어의 정의는 정확히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의 정확한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위 이미지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발코니'는 건물 외벽에서 돌출되어 나온 형태의 공간을 말합니다. 보통 일반적인 아파트의 발코니를 생각하면 됩니다. '베란다'는 아래층 지붕 면적이 윗층 바닥면적보다 커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공간을 말합니다. 1층 지붕 중 일부 공간을 2층에서 외부 공간으로 사용한다고 보면 되겠네요. '테라스'는 1층 실내에서 직접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공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지붕이 없고, 흙..
프롭테크(Proptech)가 뭐죠? 프롭테크(Proptech)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입니다. 부동산 산업에 첨단 ICT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에 없던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많이 알려진 프롭데크 서비스는 직방, 다방, 네모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입니다. 최근에는 국토부와 서울시 등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거나,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을 이용한 프롭테크 회사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는 '밸류맵'입니다. 밸류맵은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지, 주택, 상가, 공장 등의 매매가, 토지정보, 건물정보 등을 제공해 줍니다. 밸류맵 화면에서 지번을 검색하거나, 선택을 하면 아래와 같이 상세 정..
용도지구란? 앞서 '용도지역'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https://vuon.tistory.com/287 용도지역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의 토지는 ①도시지역, ②관리지역, ③농림지역, ④자연환경보전지역, 이렇게 총 4개의 용도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의 전 국토가 4개의 용도지역으로 나뉘어.. vuon.tistory.com 이번에는 '용도지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용도지구 용도지구란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할 목적으로 지정하게 됩니다. 용도지역은 전국의 모든 토지에 적용되고, 용도지구는 용도지역을 보완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용도지역과 용도지구는 중복 지정이 가능합니다. 국토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며, 필요 시 조례..
용도지역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의 토지는 ①도시지역, ②관리지역, ③농림지역, ④자연환경보전지역, 이렇게 총 4개의 용도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우리나라의 전 국토가 4개의 용도지역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죠. 용도지역은 지자체가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게 되는데, 각 용도지역에 따라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도시지역 도시지역은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정비, 관리, 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도시지역은 ①주거지역, ②상업지역, ③공업지역, ④녹지지역, 이렇게 다시 4가지 지역으로 세분화됩니다.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은 용어 그대로, 주거, 상업, 공업의 편익증진을 위해..

반응형